코인숫자가 셀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2017년 광풍을 겪은 흔히 말하는 '고인물' 들은 각자의 투자 방식을 갖고있고, 여전히 정보의 불균형은 엄청납니다.
신규 코인 시장 진입자들은, 하드포크, 디파이, NFT 정도의 지식만 가지고 시장에 뛰어들지만
정작 중요했던 커밋, 깃허브, 로드맵 등은 잘 살펴보지 않았던 1분기 였습니다.
수배에서 수십배 수익을 남겼던 이들은 대부분 운이좋아서 이득을 남겼습니다.
'업비트' 에 상장된 코인은 어느정도 프로젝트가 검증되어있는 코인들 이었고 90% 확률로 2배이상의 수익을 안겨줬습니다. 진입시기가 곧 수익으로 이어졌던 1분기 였지요.
하지만 이런 '불장' 에서도 손해본 이들이 적진 않습니다. 그래서 정보가 중요했습니다. 커밋 갯수와 깃허브에 올라온 개발현황, 또 로드맵은 잘 따르고 있는지, 최근 달성한 마일스톤은 무엇인지. 이것만 잘 살펴보고 평균점수 이상의 코인만 투자했어도 절대 손해보는 일은 없었죠.
신규코인에 보수적인 투자자들도 '기술력' 하나만 믿고 카르다노(ADA) 나 이오스(EOS)에 투자해 적지 않은 수익도 보곤 했습니다.
'기술력' 하나면 봐도 수익을 볼 수 있었죠. 또 테마들도 엄청나게 생겨났습니다.
NFT, 메타버스, 백신여권, 디파이, 스테이블...
하지만 2분기가 시작되면서 모든 거품이 아슬아슬하게 유지되고 있는 실정 입니다.
벌써 주변에는 큰 손해를 보기 시작한 투자자도 생기더군요.
NFT, 메타버스, 백신여권, 디파이 이런 테마는 사실 코인업계에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곧 다들 알게되겠죠.
'기술력' 이라는것은 독보적인 1개의 독점기업과 보편적인 여러개의 기업으로 나뉘곤 합니다.
시중의 코인들은 '하드 포크' 로 시작해서 소스를 그대로 옮겨 붙인후 이름만 바꿔서 출시한 코인도 많습니다. 모든 코인 기술력들은 복사가 쉽게 가능합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이 이더리움의 특별함처럼 얘기했지만 모두 옛말이 되어버렸습니다. 현재 와서는 스마트 계약이 없는 코인 찾기가 더 힘들 정도이죠.
NFT도 마찬가지 입니다. 스마트폰에 어플 설치 하듯이 해당 기능을 부여하면 NFT 코인이 되는겁니다.
메타버스는 어떨까요. 가상 현실 지불수단으로 사용하면 그것이 곧 메타버스 코인입니다. 더더욱 쉽죠.
디파이도 마찬가지입니다. 탈 중앙화를 하지 않은 '리플' 조차 디파이를 한다고 하니 사실상 중간 개입자 없이 P2P형식의 거래가 가능하다면 그것이 디파이일 뿐입니다.
지금은 대중들의 눈먼 자본이 코인 시장에 흡수되어 의미없는 '테마'나 '기술력' 따위에 집중하고 있지만, 미래를 바라보는 현명한 투자자라면 다른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수많은 코인들이 출시되는 지금 이미 많은 코인들이 사장되고 투자된 돈은 증발해 버리고 있습니다. 시장에 나와서 몸값을 올리는 코인들이 소수일 정도 입니다.
암호화폐가 법정화폐와 다르게 인프레이션이 일어나지 않지만, '종류의 인프레이션' 이 일어납니다. 곧 코인들은 모두가 NFT이며 모든 코인이 디파이 이며 모든 코인이 메타버스 지불 수단이 될것 입니다.
결국 모두 비슷한 '기술력' 과 '비슷한' 쓰임새를 갖게 되는 것이죠.
결국 우리가 집중 해야 하는것은 암호화폐 자체가 아닙니다.
이제 우리가 미래를 지향하며 암호화폐에 투자한다면 고려해야 할점은 암호화폐 자체에는 없습니다.
고려해야 할점은 아래와 같이 정리 해볼 수 있습니다.
1. 커뮤니티
암호화폐를 생명체에 비교하자면 '노드'는 뉴런이자 신경세포망이고, 유저는 가각의 세포 입니다.
암호화폐가 커뮤니티를 잘 구성하고 있는지, 정말 탈 중앙화의 커뮤니티 인지, 탈 중앙화를 가장한 프라이빗 커뮤니티 인지를 구분해야 합니다.
프라이빗 커뮤니티가 나쁘다는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프라이빗 커뮤니티라면 좀더 구성해줘야 하는 것들이 더 생깁니다.
탈 중앙화의 커뮤니티가 잘 구성되어있고, 만개 이상의 노드가 활발하게 돌아간다면 상당히 우수한 암호화폐 입니다. 유저수도 10만을 넘고 홀더가 만명 정도 되면 메이저급 코인들입니다.
파이코인이 기대 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노드가 10만개 되기 직전이고 1500만의 유저를 갖고 있으며 유저가 현재는 곧 홀더 입니다.
메인넷이 나오고 스토리가 진행되봐야 되겠지만, 암호화폐 역사상 가장 큰 커뮤니티인것은 틀림없습니다.
2. 플렛폼
암호화폐를 법정화폐에 비교하자면, 플렛폼은 법정 화폐를 발행한 국가 입니다.
화폐=달러
플랫폼=미국
달러가 좋아서 달러가 기축통화가 되었습니까? 달러가 어떤 장점이 있어서 기축통화가 되었죠?
다 미국이 강대국이라서 가능했던 일이었습니다.
현재 바이낸스 자체 스테이블 코인 BNB가 엄청나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 조정장에서 말이죠.
바이낸스는 곧 암호화폐의 강자 입니다. 플렛폼의 중요성이 와닿으시나요?
페이코인을 좋게 보는 이유도 '다날' 이라는 플렛폼 때문이지 자체 기술력 때문은 절대 아닌것처럼 말이죠.
그런 점에서 파이코인의 숙제도 플렛폼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3. 주 사용처
또 달러 얘기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석유가 주로 나오는 나라는 중동국가지만 거의 모든 석유시장은 달러로 거래 됩니다.
달러=오일머니 인 샘이죠.
미국이 강대국인것과 별개로 산업화가 되고 엄청난 오일 수요가 달러의 기축통화가 되는것에 힘을 실어주었습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점은 주요 시장들에서 어떤 코인들이 오갈것인가 입니다.
아직 메타버스에서 두각을 드러낸 가상현실은 없지만, 세계1위 메타버스가 생길것 이라면 거기서 쓰일 통화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NFT 시장 대중화 플렛폼이 나온다면 거기서 어떤 암호화폐가 쓰일것인지.
오프라인 미술품 시장은 어떤 암호화폐를 쓸것인지.
공유 경제 플랫폼을 독점하는 것은 어떤 암호 화폐 일 것인지.
그런것들이 중요합니다.
코인 시장 진입기는 아직 빠르지만 '현명한 투자자'는 이지 기관 참여전에 투자한 이들이며, 지금 진입한 신규 코린이들은 무엇을 어떻게 투자할 것인지 방침을 잘 세워야 할 것 입니다.
10년을 갖고있지 못할 주식은 10분도 갖고있지 말란 말이 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이는 통용됩니다.
50% 하락 했다고 잠도 안올 코인은 쳐다도 보지 말길 바랍니다.
홀더의 길은 원래 험난합니다.
투자의 길은 손해부터 시작합니다. 어떤 이익을 볼것인가 생각하지 말고 어떤 손해를 견딜것인가 생각하며 코인 어플을클릭 하시기 바랍니다.
'코인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비트코인은 계단식 하락일까? (1) | 2021.04.27 |
---|---|
코인 초단기(스켈퍼)투자 정석 기법 전략에 대해서. (0) | 2021.04.19 |